"명품에 월급 탕진, 보기엔 만원짜리"…동료 핀잔에 이직 고민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한 직장인이 명품을 좋아한다는 이유로 회사 동료로부터 핀잔을 들어 이직을 고민 중이라고 토로했다.
30대 여성이라고 밝힌 A씨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명품을 사랑한다. 어렸을 때부터 옷과 가방, 주얼리를 좋아했다. 좋아하는 브랜드 20개 정도는 역대 디자이너와 디자인까지 꿰고 있을 정도"라며 "패션쇼를 찾아보고 잡지 사서 읽는 게 제 오랜 취미"라고 말했다.
이어 "관심이 많다 보니 자연스럽게 옷이나 소지품도 다 명품"이라며 "아는 사람만 알고 관심 없는 사람은 모르는 느낌"이라고 했다.
그런데 얼마 전 A씨가 다니는 회사에 새로 발령받은 40대 여성이 "A씨가 명품을 휘감고 다닌다. 돈 벌어서 다 명품에 쓰는 것 같다"는 소문을 냈다고 한다.
해당 동료는 다른 직원들과 함께 식사하는 자리에서도 "A씨는 티셔츠도 명품이다. 다 자기만족이고 브랜드값이다. 남들 보기에는 그냥 만원짜리 티셔츠"라고 지적했다. 당황한 A씨는 그 자리에서 어떤 말도 하지 못했다.
이후에도 동료는 A씨가 목걸이나 귀걸이를 착용하면 브랜드 이름과 가격을 언급했다. 따로 A씨를 불러 "그렇게 명품으로 치장하고 오면 위화감이 조성되니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A씨는 "남한테 돈 빌려서 사는 것도 아니고, 어렸을 때부터 재테크하면서 수익 일부를 명품에 쓰기로 정했다"며 "노하우가 생겨서 수익도 잘 나고 있다. 명품이 제 재테크의 원동력이기도 하다"고 털어놨다.
이어 "회사에서는 대부분 무채색에 무난한 것만 하고 다니는데 왜 위화감이 조성된다는 건지 모르겠다"며 "회사 출근용 중저가 브랜드를 살까 고민도 했는데 '굳이?'라는 생각도 든다. 이 기회에 이직할까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한 분이라도 알아봐 주는 맛에 입는 건데 감사한 마음으로 넘겨라", "남이야 뭘 입든 무슨 상관", "나도 회사 동료가 명품만 입고 다녀서 위축된 적 있긴 하다" 등 반응을 보였다.
최근 주요 해외 명품 브랜드들은 주얼리와 시계 등 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가격을 올려 희소성을 부각하고 고급 이미지를 유지해 구매 욕구를 자극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프랑스 브랜드 까르띠에는 지난 10일부터 국내에서 판매하는 일부 주얼리 제품 가격을 2~4% 인상했다. 올해 들어 세 번째다. 까르띠에는 지난 2월과 5월에도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시계 브랜드 롤렉스와 산하 브랜드 튜더도 지난 7월 국내 판매 제품 가격을 나란히 인상했다. 두 브랜드는 올해 1월에도 국내에서 가격을 인상했다. 리치몬트 그룹 명품 시계 브랜드 예거 르쿨트르도 15일부터 국내에서 대부분 제품 가격을 5~7% 인상한다.
프랑스 브랜드 샤넬은 올해 상반기에만 가격을 세 차례 인상했다. 올해 들어 에르메스는 한 차례, 루이비통은 두 차례 가격을 올렸다.
명품 브랜드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는 원자재인 금 가격 상승과 미국 정부 관세 부담 등이 꼽힌다.
30대 여성이라고 밝힌 A씨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명품을 사랑한다. 어렸을 때부터 옷과 가방, 주얼리를 좋아했다. 좋아하는 브랜드 20개 정도는 역대 디자이너와 디자인까지 꿰고 있을 정도"라며 "패션쇼를 찾아보고 잡지 사서 읽는 게 제 오랜 취미"라고 말했다.
이어 "관심이 많다 보니 자연스럽게 옷이나 소지품도 다 명품"이라며 "아는 사람만 알고 관심 없는 사람은 모르는 느낌"이라고 했다.
그런데 얼마 전 A씨가 다니는 회사에 새로 발령받은 40대 여성이 "A씨가 명품을 휘감고 다닌다. 돈 벌어서 다 명품에 쓰는 것 같다"는 소문을 냈다고 한다.
해당 동료는 다른 직원들과 함께 식사하는 자리에서도 "A씨는 티셔츠도 명품이다. 다 자기만족이고 브랜드값이다. 남들 보기에는 그냥 만원짜리 티셔츠"라고 지적했다. 당황한 A씨는 그 자리에서 어떤 말도 하지 못했다.
이후에도 동료는 A씨가 목걸이나 귀걸이를 착용하면 브랜드 이름과 가격을 언급했다. 따로 A씨를 불러 "그렇게 명품으로 치장하고 오면 위화감이 조성되니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A씨는 "남한테 돈 빌려서 사는 것도 아니고, 어렸을 때부터 재테크하면서 수익 일부를 명품에 쓰기로 정했다"며 "노하우가 생겨서 수익도 잘 나고 있다. 명품이 제 재테크의 원동력이기도 하다"고 털어놨다.
이어 "회사에서는 대부분 무채색에 무난한 것만 하고 다니는데 왜 위화감이 조성된다는 건지 모르겠다"며 "회사 출근용 중저가 브랜드를 살까 고민도 했는데 '굳이?'라는 생각도 든다. 이 기회에 이직할까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한 분이라도 알아봐 주는 맛에 입는 건데 감사한 마음으로 넘겨라", "남이야 뭘 입든 무슨 상관", "나도 회사 동료가 명품만 입고 다녀서 위축된 적 있긴 하다" 등 반응을 보였다.
최근 주요 해외 명품 브랜드들은 주얼리와 시계 등 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가격을 올려 희소성을 부각하고 고급 이미지를 유지해 구매 욕구를 자극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프랑스 브랜드 까르띠에는 지난 10일부터 국내에서 판매하는 일부 주얼리 제품 가격을 2~4% 인상했다. 올해 들어 세 번째다. 까르띠에는 지난 2월과 5월에도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시계 브랜드 롤렉스와 산하 브랜드 튜더도 지난 7월 국내 판매 제품 가격을 나란히 인상했다. 두 브랜드는 올해 1월에도 국내에서 가격을 인상했다. 리치몬트 그룹 명품 시계 브랜드 예거 르쿨트르도 15일부터 국내에서 대부분 제품 가격을 5~7% 인상한다.
프랑스 브랜드 샤넬은 올해 상반기에만 가격을 세 차례 인상했다. 올해 들어 에르메스는 한 차례, 루이비통은 두 차례 가격을 올렸다.
명품 브랜드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으로는 원자재인 금 가격 상승과 미국 정부 관세 부담 등이 꼽힌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