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울고, 길목 막고"...서울대에 들개떼 출몰, 학생들은 ‘불안’
작성자 정보
- VVIP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대학교에 최근 들개떼가 출몰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아직까지 이렇다 할 인명 피해는 없지만 학생들의 불안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2일 관악구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2시께 서울대 기숙사인 관악학생생활관 인근에서 들개 6마리가 포착됐다. 서울대는 자체 포획이 어렵다고 판단해 관악구청에 지원을 요청했고, 출동한 전문가와 수의사가 마취총을 쏴 들개를 붙잡았다.
서울대에서 들개가 목격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서울대를 둘러싸고 있는 관악산에는 과거부터 들개들이 목격돼왔으며 캠퍼스 내에서 목격된 사례도 많다. 이 때문에 2008년과 2010년, 2017년에는 서울대와 구청, 소방서가 합동으로 대규모 포획 작전을 벌이기도 했다. 현재는 약 30여마리가 활동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월 한 서울대생이 들개 두 마리에게 물려 경상을 입은 사례를 제외하면 인명 피해는 나지 않았다. 그러나 캠퍼스에 들개가 자주 나타나면서 학생들은 불안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물리천문학부 1학년 정모씨(19)는 "교내 헬스장에 가던 중 들개들이 길목을 막고 있어 돌아가야 했다"며 "최근에는 새벽에 들개들이 울어서 불편하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서울대는 2017년부터 민원이 잦은 지역을 중심으로 포획 틀을 설치해왔다. 현재 출현 빈도가 높은 기숙사와 교수회관 등 8곳에 놓여있다. 관악구청도 2022년부터 전문가와 수의사 등 5명으로 구성된 들개 안전포획단을 운영하고 있지만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올해 1월부터 10월 관악구에서 포획된 들개는 63마리다. 2023년 46마리, 작년 56마리였던 것과 비교하면 숫자가 계속 늘고 있는 셈이다. 구청 관계자는 "들개가 사람은 잘 공격하지 않지만 반려견은 공격하는 경우가 있다"며 "반려견과 산책을 조심하고, 먹이를 주는 행위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에 포획된 6마리는 유기동물보호센터로 옮겨졌으며, 보호센터는 공고를 통해 원소유주를 찾고 있다. 공고 기간 10일이 지나면 입양 절차를 거치며, 성사되지 않을 경우 안락사 수순을 밟게 된다. 다만, 이번의 경우 이미 입양 희망자가 모집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관악구청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오후 2시께 서울대 기숙사인 관악학생생활관 인근에서 들개 6마리가 포착됐다. 서울대는 자체 포획이 어렵다고 판단해 관악구청에 지원을 요청했고, 출동한 전문가와 수의사가 마취총을 쏴 들개를 붙잡았다.
서울대에서 들개가 목격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서울대를 둘러싸고 있는 관악산에는 과거부터 들개들이 목격돼왔으며 캠퍼스 내에서 목격된 사례도 많다. 이 때문에 2008년과 2010년, 2017년에는 서울대와 구청, 소방서가 합동으로 대규모 포획 작전을 벌이기도 했다. 현재는 약 30여마리가 활동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1월 한 서울대생이 들개 두 마리에게 물려 경상을 입은 사례를 제외하면 인명 피해는 나지 않았다. 그러나 캠퍼스에 들개가 자주 나타나면서 학생들은 불안을 숨기지 못하고 있다. 물리천문학부 1학년 정모씨(19)는 "교내 헬스장에 가던 중 들개들이 길목을 막고 있어 돌아가야 했다"며 "최근에는 새벽에 들개들이 울어서 불편하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서울대는 2017년부터 민원이 잦은 지역을 중심으로 포획 틀을 설치해왔다. 현재 출현 빈도가 높은 기숙사와 교수회관 등 8곳에 놓여있다. 관악구청도 2022년부터 전문가와 수의사 등 5명으로 구성된 들개 안전포획단을 운영하고 있지만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올해 1월부터 10월 관악구에서 포획된 들개는 63마리다. 2023년 46마리, 작년 56마리였던 것과 비교하면 숫자가 계속 늘고 있는 셈이다. 구청 관계자는 "들개가 사람은 잘 공격하지 않지만 반려견은 공격하는 경우가 있다"며 "반려견과 산책을 조심하고, 먹이를 주는 행위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에 포획된 6마리는 유기동물보호센터로 옮겨졌으며, 보호센터는 공고를 통해 원소유주를 찾고 있다. 공고 기간 10일이 지나면 입양 절차를 거치며, 성사되지 않을 경우 안락사 수순을 밟게 된다. 다만, 이번의 경우 이미 입양 희망자가 모집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